띄어쓰기 규칙 및 방법을 어른이 되기 전에 알아보자
한글맞춤법 규정에 의하면 '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한다'는 조항이 있습니다. 그만큼 우리나라는 글을 쓸 때 띄어쓰기를 신중해야 합니다. 띄어쓰기를 어떻게 하냐에 따라 의미가 많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우리가 글쓰기를 할 때 오류가 종종 발생하여 띄어쓰기 규칙과 방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합니다.

- 목차 -
1. 조사 띄어쓰기
조사 띄어쓰기에서 조사는 체언 뒤에 붙어 그 말과 다른 말과의 문법적 관계를 표시하거나 그 말의 뜻을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문장에서 '격조사'는 문법적인 기능을 담당하고, '보조사'는 화자의 태도나 감정 상태를 드러내는 보조적 기능을 담당합니다. 한글맞춤법 띄어쓰기 규정에서 조사는 그 앞말에 붙여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내가/나마저/나밖에/나로부터/유학생처럼/유학생으로만/유학생이다/유학생입니다' 등이 있습니다.
내가 나마저 나밖에 나로부터 |
유학생처럼 유학생으로만 유학생이다 유학생입니다 |
2. 의존명사 띄어쓰기
의존명사 띄어쓰기에서 의존명사는 독립적으로 사용하지 못하고 다른 말에 의지하여 쓰이는 명사입니다. 그러나 독립성은 없지만, 명사적 기능을 수행하여 독립된 단어로 취급하므로 의존명사는 띄어 씁니다. 예를 들어, '아는 것이 힘이다/ 공부할 만큼 해라/ 그가 떠난 지 오래다/ 사랑 할 수 있다/ 네가 말한 바를 알겠다/ 중요할 데 쓰도록 해라' 등이 있습니다. 단, 의존 명사와 같은 형태를 취하면서도 조사나 접사 또는 어미 등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붙여 써야 합니다. 예를 들어, '너는 너만큼은 할 수 있어' 등이 있습니다.
아는 것이 힘이다. 공부할 만큼 해라. 그가 떠난 지 오래다. 사랑 할 수 있다. 네가 말한 바를 알겠다. 중요할 데 쓰도록 해라. |
너는 너만큼은 할 수 있어 사랑은 생각만큼 쉽지 않았다. |
3.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와 수 띄어쓰기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는 다음과 같이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합니다. 예를 들어, '세 개/옷 세 벌/집 두 채/차 세 대/네 살/신 네 켤레/소 세 마리/나무 두 그루/북어 한 쾌'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순서를 타나내는 경우나 숫자와 함께 쓰이는 경우에는 붙여 써야 합니다. 그리고 수를 적을 때는 '만(萬)' 단위로 띄어 쓰도록 합니다.
세 개 옷 세 벌 집 두 채 |
차 세 대 네 살 신 네 켤레 |
소 세 마리 나무 두 그루 북어 한 쾌 |
204동 2004호 제사과 |
500원 십오층 |
300개 삼학년 |
십사억 오천삼백오십칠만 칠천팔백구십사 | 14억 5357만 7894 |
4. 고유명사 띄어쓰기
고유명사 띄어쓰기에서 고유명사는 인명, 지명, 작품명, 사건명 등의 특정 사물의 명칭을 말합니다. 성명은 사람의 성과 이름은 붙여 쓰고, 호칭어, 관직명 등은 띄어 씁니다. 따라서 성명의 뒤나 앞에 쓰이는 '씨, 선생, 박사' 등의 호칭어와 '장관, 국장, 장군' 등과 같은 관직명은 보통 명사이기 때문에 띄어 써야 합니다. 예를 들어, '안중근/의사 안중근 선생/ 우영우/ 우영우씨/ 이순신/이순신 장군' 등이 있습니다.
안중근 | 우영우 | 이순신 |
의사 안중근 선생 | 우영우씨 | 이순신 장군 |
다만, 성과 이름을 구분할 필요가 있을 때는 띄어 쓸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선우 용녀/남궁 옥분' 등이 있습니다. 그리고 고 고유명사는 단어별로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나 단위별로 띄어 써도 무방합니다. 여러 개의 단어가 결합해 형성된 고유명사는 단어별로 띄어 쓰면 단어의 뜻이 분명해지는 이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각 단어가 결합하여 가리키는 하나의 대상이 명확히 파악하지 않는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와세다 대학교/와세다대학교' 등이 있습니다.
와세다 대학교/와세다대학교 |
와세다 대학교 미술 대학/와세다대학교 미술대학 |
5. 한 음절 띄어쓰기
한 음절 띄어쓰기에서 두 말을 이어주거나 열거할 때 쓰이는 말들은 다음과 같이 띄어 씁니다. 예를 들어, '과장 겸 부장/중국 대 미국/먹, 벼루 등이 있다/사과, 오렌지, 귤 등등'이 있습니다. 그밖에 단음절로 된 단어가 연이어 나타날 때는 붙여 쓸 수 있습니다. 한 음절인 단어가 여러 개 이어질 때는 띄어 쓰는 것은 쓰기에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띄어 써 놓아도 읽기에 부담을 주어 의미상으로 한 덩어리가 되는 단어는 붙여 쓸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띄어쓰기 방법에 대해 제시하였습니다. 유용한 정보이길 바랍니다.
과장 겸부장 | 중국 대미국 |
먹, 벼루 등이 있다 | 사과, 오렌지, 귤 등등 |
그 때 그 곳/그때 그곳 | 좀 더 큰 것/좀더 큰 것 |
이 말 저 말/ 이말 저말 | 한 잎 두 잎 / 한잎 두잎 |
자료출처 : 글쓰기와 표현
<함께 읽으면 좋은글>
'교양 필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 대신 마실 수 있는 음료 3가지 (2) | 2023.03.24 |
---|---|
초콜릿 궁합 맞는 재료 및 고르는 방법 3가지 (0) | 2023.02.09 |
틀리기 쉬운 맞춤법 표기 5가지 (0) | 2023.02.01 |
장애인 등록 시 어떤 혜택을 받을 수 있을까? (0) | 2023.01.28 |
집에서 간단한 근력운동 10가지 방법 (0) | 2023.01.09 |